베트남 일간,주간 뉴스 브리핑

🇻🇳 베트남 전쟁 3편: 미국의 전면 개입, 통킹만 사건의 진실

비즈트래블러 2025. 7. 1. 10:02
반응형


베트남 전쟁은 단순한 내전이 아닙니다.
세계 최강대국이었던 미국이 본격적으로 참전하면서 이 전쟁은 한 민족의 내전에서 **지구적 전쟁(Global Conflict)**으로 확장되었습니다.
그 전환점이 바로 **1964년의 통킹만 사건(Gulf of Tonkin Incident)**입니다.



도미노 이론


📌 1. 미국은 왜 베트남에 관심을 가졌나?

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찰을 자처하며,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 것을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삼았습니다.

소련은 동유럽을 차지했고

중국은 1949년에 공산화되었고

이제 **동남아시아(특히 베트남)**까지 넘어간다면?


이른바 **“도미노 이론(Domino Theory)”**에 따라,
한 국가가 공산화되면 인접국도 연달아 무너진다는 공포가 있었습니다.
→ 그래서 베트남을 지켜야 한다는 논리가 강해진 것입니다.


사건 당시 USS 매독스 함의 항적을 나타낸 지도



📌 2. 통킹만 사건 – 전쟁의 핑계였나?

1964년 8월 2일, 북베트남 해군이 미국 구축함 '매독스(Maddox)'를 공격했다는 보고가 들어옵니다.
3일 뒤, 또 한 번의 공격이 있었다는 첩보가 전달되었고, 미국은 이를 북베트남의 도발로 간주합니다.

그런데, 두 번째 공격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
당시 함장이 "기상 이상으로 잘못 감지했을 수도 있다"고 보고했지만

미국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전면 대응을 선언합니다.


이 사건을 근거로 미 의회는 **‘통킹만 결의안(Gulf of Tonkin Resolution)’**을 통과시킵니다.
→ 대통령에게 의회 승인 없이도 군사 행동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것이죠.

미 군함 USS 매독스에서 촬영한 북베트남군 어뢰정의 사진


📌 3. 린든 존슨의 선택 – 전면전으로 간 미국

당시 미국 대통령 **린든 B. 존슨(Lyndon B. Johnson)**은 1964년 대선을 앞두고 있었습니다.

겉으로는 “전쟁 확대를 원치 않는다”고 말하면서도

통킹만 사건 이후 지상군 투입과 본격적 폭격 작전을 승인합니다.


1965년, 미 해병대가 다낭에 상륙하면서 미국의 직접 개입이 시작됩니다.
처음에는 군사 고문단 2만 명이었지만,
→ 이후 1969년에는 미군 병력이 54만 명에 이르게 됩니다.

1960년대 초 촬영된 USS 매독스 구축함.



📌 4. 베트남 전쟁은 미국 내에서도 논란이었다

흥미로운 사실은, 미국 내에서도 이 전쟁을 반대한 목소리가 컸다는 점입니다.

통킹만 사건이 조작되었다는 의혹

전쟁에 투입된 병사들의 사기 저하

TV와 언론에서 전달되는 처참한 전쟁 장면들


→ 미국 내 대학가에서는 반전 시위와 히피 운동이 급속도로 확산됩니다.

특히 1968년, 언론인이자 앵커인 **월터 크롱카이트(Walter Cronkite)**가 “이 전쟁은 이길 수 없다”고 보도한 이후, 미국의 민심은 급격히 돌아서게 됩니다.


📌 5. 조작이 낳은 전쟁 – ‘만들어진 명분’

훗날 공개된 CIA와 국방부 자료에 따르면,
통킹만 사건의 두 번째 공격은 허위이거나 왜곡된 정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→ 즉, ‘전쟁에 들어가기 위한 명분’이 조작된 셈입니다.

이 점에서, 많은 이들이 통킹만 사건을 이라크전 당시의 대량살상무기(WMD) 허위정보에 비유하기도 합니다.
→ 전쟁은 늘 진실보다는 정치적 계산에 의해 움직인다는 점에서 두 사건은 놀라울 정도로 닮았습니다.


마무리: 통킹만 사건, 전쟁의 문을 열다

통킹만 사건은 단순한 해상 충돌이 아니라,
미국을 베트남이라는 늪에 빠지게 한 시작점이었습니다.
그 결과,

약 10년간

5만 8천여 명의 미군 전사

200만 명 이상의 베트남 민간인 희생
이라는 엄청난 대가를 남겼습니다.



📌 다음편 예고

4편에서는, 미국이 참전한 이후 베트남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,
구찌터널과 정글전, 네이팜탄과 고엽제 등 ‘잔혹한 전장의 현실’을 다룹니다.


반응형